dim
닫기버튼 이미지
검색창
검색하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전국민 정신건강 대응책 추진…아동 조기 치료 강조

  • 공유하기
  • 글씨작게
  • 글씨크게

지난 3년간 급작스러운 경제 악화, 코로나 팬데믹, 잇따른 흉기 테러 등으로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민 정신건강 관리 필요성을 강조하고 진료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달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는 올 하반기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국민 정신건강 서비스 혁신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정신질환 조기 발견부터 신속한 치료와 퇴원 후 사회 복귀까지 관리하는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국가적 차원에서 강화할 방침이다.


국립정신건강센터가 올해 발표한 ‘국가 정신건강 보고서 2021’에 따르면 평생 한 번이라도 정신장애 진단도구(K-CIDI)를 통해 정신장애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 중 정신건강전문가와 상담을 해본 적 있는 사람의 비율은 12.1%다. 이 수치는 40%를 웃도는 주요국에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국민 정신건강 문제는 성인 뿐 아니라 아동들에게 더 크게 다가온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서울시에서 진행한 ‘코로나 영유아 발달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집에 다니는 0~5세 456명 가운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은 152명(33.3%), 관찰이 필요한 아동은 67명(14.7%)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7년 약 5만3000명이던 ADHD 환자는 2021년 약 10만 2000명으로 92.9% 대폭 증가했다. 의료기관을 찾지 않은 환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소아질병 중 특히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주의력을 통제하는 전두엽의 기능이 덜 발달하면서 생기는 선천성 질환으로 주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난다. 정확한 원인을 밝혀지지 않았으나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 사회생활의 지속 어려움, 우울증, 알코올 중독 증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소아기 때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ADHD는 주로 아동·청소년기에 나타나지만 소아 ADHD 환자 중 약 70% 정도는 성인까지 증상이 이어질 수 있고,성인기에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통상적인 ADHD 치료는 도파민 부족을 해결하는 약물로 치료한다. 반응은 대체로 즉각적이고 효과적이지만 두통, 어지러움, 식용억제, 수면의 질 저하, 우울증 등과 같은 약물부작용을 종종 호소한다.


따라서 양약에 의존하기보단 다양한 치료와 함께 뇌의 발달과 조절력을 함양해주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초기에 ADHD 진단을 받고 치료하지 않으면 성인이 돼서도 주의력 문제로 사회생활이 어려울 수 있다며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올해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에서 발간한 '국내외 디지털 치료제 산업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디지털 치료제의 경우 신약보다 평균 개발기간이 40% 이상, 개발비용은 90% 이상 적게 든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 디지털 치료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다양한 적응증 치료기기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한편 외국에서는 디지털치료기기의 허가 및 보험등재 체계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디지털 치료기기 전반에 대한 등재 체계를 마련한 국가는 독일이 유일하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