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
닫기버튼 이미지
검색창
검색하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IPO 개편 2개월]②단타 세력 빠지며 반짝 오른 주가도 제자리

  • 공유하기
  • 글씨작게
  • 글씨크게

상장 첫날 따따블 투기 수요 빠르게 사라져
“제도 도입 목적인 가격발견 기능 작동” 평가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이후 공모가 거품 논란과 주가 널뛰기 위험이 커졌다. 그러나 투기 수요도 빠르게 사라져 새내기주의 가격발견 기능이 어느 정도 작동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제도 변경의 과도기를 지나고 안착하면 가격제한폭 도입의 취지가 더욱 살아날 것으로 보는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공모주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제도 안착 전까지 주가 널뛰기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상장 첫날 단타 투기, 빠르게 사라져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IPO 제도 변경이 적용된 지난 6월26일 이후 7월에 상장한 새내기 8곳 중에서 현재 모두 공모가를 밑도는 곳이 5곳에 달한다. 이에 공모가 가격변동폭 확대 시행 이후 과열됐던 분위기가 진정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에서는 제도 개편 초기 혼란스럽던 분위기가 점차 진정되고 가격 안정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일부 공모주는 상장 당일 매우 큰 가격 변동성을 보이기도 했지만, 제도 도입 목적인 가격발견 기능은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짚었다.


금융투자업계는 주가가 비교적 빨리 제자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가격제한폭 확대 정책이 장기적으로 이롭다고 보고 있다. 만약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았다면 시큐센이나 필에너지의 경우 '따상(공모가의 2배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 기록)'으로 직행하고 이에 따른 상한가 추종 매매 자금 등이 몰려 한동안 주가가 과열됐을 가능성이 컸을 것으로 본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가격제한폭 확대로 주가가 장중 공모가 대비 4배 가까이로 치솟자 일시에 차익실현 매물이 나왔고, 결과적으로 상장 일주일 만에 주가가 안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가격제한폭 확대로 상장 첫날 단기 투기 수요가 몰렸지만, 대부분 첫날 사라진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봤다. 한 트레이더는 "2021년 IPO 호황기와는 달리 신규 상장주가 보통 상장 후 일주일 안에 시장 가격을 찾는 게 인상적인 부분"이라고 말했다. 특히 시초가 제한이 아예 없어 상장 첫날 가격 변동성이 극심하지만, 대신 빠르게 시장 가격을 찾아가는 미국 증시와 비슷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최종경 흥국증권 연구원은 "제도 시행 초기 혼란은 불가피하다"며 "그러나 결국 가격제한폭 확대는 적정 균형가격 조기 형성으로 이어져 IPO 시장의 가격 안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 안정화 기여…당분간 투자는 주의해야

공모주 거품과 극심한 주가 변동성도 공모주 옥석 가리기 과정에서 해소될 것이라는 시각이 존재한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부 종목에 관심이 쏠리면서 높은 공모가로 확정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런 현상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종목 선별과 더불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가격제한폭 확대 정책을 이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허선재 SK증권 연구원은 "상장 당일 가격제한폭을 확대한 조치는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한다"며 "시장 논리에 따라 빠르게 적정한 기업가치를 찾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역시 "가격제한폭을 확대하면 하루에 더 많은 정보가 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며 "종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가격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게 하는 합리적인 정책"이라고 말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 역시 "제도의 본래 취지와 다르게 '따따블'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변동성이 커진 측면도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시장이 점차 정상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여전히 투자 주의는 당부했다. 최종경 연구원은 "스팩의 가격 급등과 확대된 가격제한폭으로 신규 상장일 기대수익률이 높아진 게 우려된다"며 "이는 높은 공모가로 공모주를 사더라도 물량만 확보한다면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과열 국면의 신호"라며 "공모가 상승은 결국 주가 수익률의 하락으로 이어져 투자자에게 부담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선애 기자 ls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