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
닫기버튼 이미지
검색창
검색하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LG엔솔, 日 도요타 뚫었다…연 20GWh 배터리 공급 '단일계약 역대 최대'

  • 공유하기
  • 글씨작게
  • 글씨크게

2025년부터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장기 공급
단일 수주 계약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
4兆 투자해 미시간 공장에 전용라인 구축

썝蹂몃낫湲 LG에너지솔루션 북미 생산공장 현황. 자료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이 세계 1위 자동차기업 도요타(Toyota)에 단일 수주 계약으로 최대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한다. 자국 기업 위주의 전기차 공급망 확보에 힘써왔던 일본 기업들이 결국 배터리 기술력과 대량 양산 능력을 갖춘 LG에너지솔루션에 손을 뻗고 있다.


5일 LG에너지솔루션은 일본 도요타 자동차와 연간 20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대규모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5대 완성차 회사(도요타·폭스바겐·르노닛산·현대차·GM) 모두에 배터리를 공급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합작공장(JV)을 제외한 LG에너지솔루션의 단일 수주계약으로는 최대 규모다. 하이니켈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기반 파우치셀이 탑재된 모듈이 공급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를 위해 올해 말부터 2025년까지 미국 미시간 공장에 총 4조원을 투자해 도요타 전용 배터리 셀 및 모듈 생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생산된 배터리 모듈은 도요타 미국 켄터키 공장에서 팩으로 조립돼 도요타 신형 전기차 모델에 주로 탑재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셀·모듈, 도요타 팩 기술력 결합해 배터리 안전성·성능 혁신

두 회사는 LG에너지솔루션의 셀 및 모듈 기술력, 도요타의 팩 기술력이 결합돼 안전성 및 성능이 한층 강화된 배터리를 생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만9000여 건의 특허와 연간 200GWh 규모의 글로벌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협력을 위해 하이니켈 NCMA 기반 열제어 기술 향상 등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도요타 또한 자체 개발한 플랫폼과 연간 1000만대 이상의 자동차 제조 노하우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배터리 팩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다.


양사는 두 회사의 기술력이 결합한 혁신적인 배터리를 통해 도요타 전기차가 북미 전기차 시장 전환에 새로운 모멘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썝蹂몃낫湲 LG에너지솔루션 파우치 롱셀 배터리.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데츠오 오가와(Tetsuo Ted Ogawa) 도요타 자동차 북미 법인 CEO(최고경영자) 대표이사는 "도요타는 최대한 빨리 CO₂를 줄이고자 하며 북미에서 전기차 판매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는 것은 제조 및 제품 계획의 중요한 부분이며,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하여 고객의 기대에 걸맞은 높은 안전성, 성능 및 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 부회장은 "세계 1위의 글로벌 자동차 회사 도요타와 배터리 선도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의 새로운 협력이 북미 전기차 시장의 커다란 진전을 가져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북미 생산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고 혁신적인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세계 최고의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1위 도요타와 협력으로 북미 시장 우위 선점

LG에너지솔루션이 도요타와 배터리 공급 협력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요타는 지난해 매출 371조원, 세계 자동차 판매 대수 1위다. 자동차 산업의 전통적인 강자다. 북미에서도 GM에 이어 자동차 판매 대수 2위를 기록하는 등 영향력이 높다. 최근에는 2030년까지 30종의 차량을 출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연간 350만 대전기차를 판매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는 등 전동화 전략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북미에서 2개의 단독 공장과 6개의 합작 공장을 운영 및 건설하며 고객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올해 6월 말 기준 LG에너지솔루션 누적 수주잔고는 440조 원이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