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
닫기버튼 이미지
검색창
검색하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Why&Next]힘 못쓰던 금값, 전쟁으로 반등…중국, 10개월째 金싹쓸이

  • 공유하기
  • 글씨작게
  • 글씨크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 금값 반등
美긴축 완화 기대 나오며 강달러도 주춤
달러에 밀렸던 금값 계속 오를지 주목
다만 전쟁, 美통화정책 등 불확실성 여전

한동안 강달러에 밀려 하락세를 면치 못했던 금 가격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을 계기로 반등하고 있다. 전쟁 여파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최근 미국의 긴축 기조가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도 조금씩 커지고 있어 당분간 금 가격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아직 미국의 고금리 기조와 강달러가 완전히 꺾였다고는 판단하기 힘든 만큼 금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12일 뉴욕상품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12월물 금 가격은 온스당 1900달러에 바짝 다가서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 가격은 지난 5월까지만 해도 2055.7달러까지 오르며 고공행진을 이어갔지만,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기조 강화로 이달 5일 1831.8달러까지 하락했다. 그러다 지난주 중동 지역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력 충돌 사태가 터지면서 6일(1845.2달러)과 9일(1864.3달러), 10일(1875.3달러). 11일(1887.3달러)까지 연속 급등세를 보이는 중이다.


금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없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이기 때문에 글로벌 지정학적 위기감이 클 때 가격이 더 오른다. 이번 중동 전쟁은 주요 산유국인 이란과 그 앙숙인 미국, 이슬람권의 맏형 격인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한 레바논, 시리아까지 복잡하게 얽혀있는 만큼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만약 미국이나 이란으로 전쟁이 확전할 경우 세계 경기침체를 앞당기면서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美 긴축 완화 기대감에…달러 대신 '금'

지정학적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의 긴축 기조가 조금씩 흔들리고 있는 것도 금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통상적으로 금은 미국 금리, 달러 가치와 반대 흐름을 보인다. 금은 이자가 붙지 않는 투자상품이다 보니 고금리 상황에선 예금·채권 등 다른 투자 상품에 비해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5월 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곧 종료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달러가 약세를 보이자 금 가격은 2000달러를 넘었고, 예상과 달리 미국 경기가 호조를 보이면서 Fed 긴축과 강달러가 심해지자 이달 초 1830달러까지 추락했다.


아직은 Fed의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으나 최근 미묘하게 분위기가 바뀌는 중이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스라엘 전쟁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간 전쟁이 불확실성을 더할 수 있다"며 "Fed가 더 금리를 인상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고,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도 "Fed가 금리를 올려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Fed 고위 인사들의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 발언이 잇따라 나오면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주 107에서 전날 105대로 상승세가 꺾였다.


전쟁 이후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되면서 미 국채 금리도 하락세다. 국채 금리와 국채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전쟁 우려로 안전자산인 미 국채 수요가 늘면 가격은 오르고 금리는 내린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3일(현지시간) 미 긴축 우려에 4.81%로 오르며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날 4.55%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미국 국채 금리와 함께 달러 가치도 계속 내릴 경우 반대로 금 가격은 추가 오름세를 보일 수 있다.


썝蹂몃낫湲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지난달 28일 오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경절 리셉션에서 건배를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10개월째 금 보유 늘리는 중국

중국을 비롯한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도 금 가격을 떠받치는 요인이다. 지난주 나온 세계금협회(WCG)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난 8월 금을 77t 매입하면서 3개월 연속 보유액을 늘렸다. 지난 4~5월만 해도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보다 매도가 더 많았으나, 최근 들어선 매입이 뚜렷하게 더 많아지는 모습이다. 크리샨 고폴 WGC 수석 애널리스트는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는 여전히 건재하다"며 "연초 순매도를 감안하더라도 올해 들어 지금까지의 매수 속도를 보면 연간 총매수량이 또다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10개월 연속 금 매입을 이어가면서 세계 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매입량도 지난 4월 8.1t, 5월 15.9t, 6월 21.2t, 7월 23t, 8월 28.9t으로 5개월 연속 규모가 늘었다. 중국은 미국 달러와의 패권 전쟁 차원에서 미 국채는 팔고, 금 보유량은 늘리는 행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미·중 갈등이 계속되는 한 금 매입을 계속 늘려나갈 가능성이 크다.


지난 8월 기준 중국의 금 보유량은 2165.4t으로 미국과 독일, 국제통화기금(IMF), 이탈리아, 프랑스, 러시아에 이어 세계 7위 수준이다. 반면 한국(104.4t)은 2013년 2월 이후 금 매입을 중단해 세계 38위 수준에 불과하다. 그리스나 리비아, 멕시코보다도 순위가 낮다.


금값 계속 오를까…美 긴축 기조에 촉각

하지만 앞으로도 금 가격이 계속 상승세를 보일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우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가장 큰 변수다. 전쟁 확전으로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심리가 강해지면 금 가격도 오를 수 있지만, 반대로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Fed의 정책금리 인상 압력을 높이면 금 가격이 다시 강달러에 밀릴 수 있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은 Fed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릴 만큼 불확실한 상황이다. 앞으로 나오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고용 상황 등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실제 추가 금리 상승을 내다보는 분석도 많다. 한국은행 런던사무소는 중동 전쟁에 따른 금리 전망에 대해 "일각에서는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당시의 시장 상황과 유사한 패턴으로 초기에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따른 금리 하방 압력이 우세하겠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공급 충격에 따른 유가 및 가스 가격 상승으로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긴축 기조가 강화되면서 금리가 상승 반전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