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
닫기버튼 이미지
검색창
검색하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美 덮치는 '유령부채'…韓도 대비해야

  • 공유하기
  • 글씨작게
  • 글씨크게

선구매후불결제(BNPL) 서비스
지난해 949억달러 추정
저소득층 주로 이용, 연체 증가
국가 통계 안잡혀 불안 요인


미국에서 선구매후불결제서비스(Buy Now Pay Later, BNPL)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가계부채를 키우는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다. BNPL은 정확한 부채 규모가 통계에 제대로 잡히지 않아 유령부채(phantom debt)라는 말까지 나온다. 한국은 아직 관련 서비스 규모가 크지 않지만 사전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일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에 따르면 미국의 BNPL 결제는 2019년부터 연평균 137.1% 증가해 지난해 총 949억달러(약 12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결제규모가 커졌다. 지난해 블랙프라이데이 쇼핑기간에는 전체 온라인 거래 중 BNPL 결제비중이 7.2%까지 치솟아 2020년 4.9%에서 크게 치솟았다.


BNPL은 페이팔과 클라나 같은 IT 플랫폼 기업들이 소비자와 가맹점을 중계해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면 일정 기간 후(통상 4~6주 이내) 무이자 또는 낮은 금리로 분할해 대금을 상환하는 서비스다.


플랫폼 기업들이 가맹점에 상품 대금을 전액 지급하고 추후에 소비자로부터 대금을 수취해 소비자의 신용리스크를 전적으로 부담한다. 가맹점은 플랫폼 기업에 높은 수수료를 지급하는 대신 신용리스크 없이 물건을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융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해 연체증가 등 문제 발생

BNPL은 신용등급 요건이 없어 금융이력이 없는 소비자도 이용 가능해 주로 젊은 세대나 저소득층이 이용한다. 미국 현지 조사에 따르면 BNPL 이용자의 24.3%가 연소득 3만달러 이하의 저소득층이었다. 저신용자 비중은 42.5%에 달했다.


이처럼 금융 취약계층이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다 보니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에 따르면 BNPL 이용자의 대출 연체율은 18%로 비이용자(7%)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이력이 없는 젊은 세대나 저신용자들이 소비 수단으로 BNPL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 연체위험이 높고, 무분별한 소비로 인해 이들 차주의 부채규모가 증대되는 상황이다.


BNPL 관련 정확한 국가 통계가 잡히지 않는 점도 금융시스템 불안요인으로 꼽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BNPL 이용자의 신용거래 정보(이용규모, 연체여부 등)가 신용평가기관은 물론 BNPL 업체간에도 공유되지 않아 전체 BNPL 취급 규모, 이용자의 채무상환 능력 등을 파악하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평가했다.


웰스파고는 BNPL이 공식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지 않는 유령부채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미국의 가계부채 규모와 연체율 등 관련 리스크 지표가 실제보다 과소 평가 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도 네이버, 카카오 등 도입해 시장 커지는 중

우리나라도 네이버파이낸셜과 카카오페이, 토스 등 여러 빅테크 회사들이 미국의 BNPL과 유사한 후불결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2021년 4월부터 '네이버페이 후불결제'를 선보였다. 카카오와 토스도 2022년부터 시장에 뛰어들면서 국내에서 관련 서비스 규모는 월평균 수백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연체율 상승 등의 논란이 있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말 기준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토스 3사의 BNPL 연체율 평균은 5.8%에 달해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은 뉴욕사무소 관계자는 "국내의 경우 미국에 비해 신용카드 발급이 쉽고 무이자 할부 서비스도 발달해 상대적으로 BNPL 규모가 작다"면서도 "간편결제 서비스 발달과 함께 후불결제 이용이 활성화되면 가계 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없지 않으므로 이에 사전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