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
닫기버튼 이미지
검색창
검색하기
공유하기 공유하기

"독일, 3년만에 주가지수 2배↑...한국은?"

  • 숏뉴스
  •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 공유하기
  • 글씨작게
  • 글씨크게

독일DAX 지수 22년 9월 대비 100% 상승
금융업·SAP·라인메탈이 주도
한국도 금융 밸류업 및 AI·방산 지원 필요

10일 iM증권은 '코스피 5000, 독일 증시에서 답을 찾자' 보고서를 통해 독일이 약 3년 만에 주가지수 2배가 된 배경에 SAP 등 테크산업과 라인메탈 등 방산업의 성장, 그리고 금융업의 밸류업이 있었다며 한국도 유사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M증권은 새 정부가 내세운 코스피 5000지수가 꼭 불가능한 영역만은 아닐 수도 있다며 대표적인 사례로 독일 DAX 지수를 들었다. 독일 DAX 지수는 6월 6일 종가기준 2만4304로 2022년 9월 저점 대비 약 100% 이상 상승했다.


독일 증시의 급등 이유를 경제 펀더멘털 측면에서 찾기는 어렵다. 한국과 독일 간 GDP 성장률, 물가, 수출 추이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지난 3년간 성장률만 보면 한국 성장률이 독일 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경제 펀더멘털 이외 독일 증시 급등 배경으로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것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했던 에너지 가격이 다시 하락함에 따른 물가 안정 ▲기준금리 인하 등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독일 신정부의 방위산업 지출 확대 등 강력한 재정정책 기대감 등이다.


iM증권은 이밖에 독일 증시 급등 원인으로 ▲시총 상위 업체, 특히 금융업종의 주가 급등 ▲ 새로운 성장산업 부상 ▲재정건전성 등을 꼽았다. 일단 독일 DAX지수가 지난 3년 급등했지만 모든 업종이 동반 상승한 것은 아니다. 금융,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테크 및 산업재 업종의 주가는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헬스케어, 경기소비재 업종은 오히려 지난 3년간 하락했다.


무엇보다 은행, 보험 등 금융업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한때 심각한 위기를 맞이했던 독일 은행들이 확장적 재정 및 통화 정책에 따른 시중 유동성 증가로 보험·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들의 금융주 투자 비중이 증가한 것과 동시에 체질 개선에 성과를 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소위 금융주의 밸류업이 나타난 것이다.


성장산업의 부상도 빼놓을 수 없다. IT업체이며 독일 시가총액 1위 SAP의 경우 주가는 22년 초 대비 119% 상승했다. '매그니피센트7'이 미국 증시를 견인한 것처럼 SAP도 독일 증시를 견인했다. 또한 러·우 전쟁과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 효과로 방산업체인 라인메탈은 시가총액이 22년 초 대비 2100%라는 비약적 증가세를 기록했다.


독일 재정 건전성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다. 독일 신정부가 야심 찬 재정확대 공약을 선언하는 등 재정 확대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독일 재정 건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미국에 비해 크지 않다. 미국과 달리 안정적인 정부 부채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감한 재정정책 추진에도 불구하고 금융시장이 재정 리스크를 크게 우려하지 않아 독일 증시가 재정 및 통화 등 유동성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는 상황이다. IMF의 올해 4월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는 123%, 독일은 65% 수준이다.


독일 경제와 한국 경제를 비교하면 수출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애널리스트는 "코스피 5000지수 달성을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강력한 정책 추진과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하며 이를 통해 국내 금융업종 등을 중심으로 한 밸류업이 가시화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독일 증시의 경우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거나 신성장 산업에 편승한 시총 상위의 대형주 위주로 주가 상승이 이루어졌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며 "신정부 역시 AI 산업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 투자를 공약하고 있어 이를 통한 산업 경쟁력 회복이 필요하고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찾은 방산, 조선 등에 대한 추가적 정책 지원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현재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는 54.5%로 독일에 비해 낮은 편이다. 하지만 글로벌 자금들이 재정건전성을 함께 주목한다는 점에서 건전성과 재정 혹은 통화정책 간 균형을 맞추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조시영 기자 ibp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TOP